EC2 사용 중 EBS 볼륨을 증설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. ubuntu os(ext 4 파일 시스템)환경에서는 아래와 같이 처리하면 된다.



현재 용량 확인하기

EC2의 Storage 탭에서 Block device의 정보를 확인한다.

현재 10G로 설정되어 있다.

EC2에 접속하여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실제 사용 중인 용량을 확인한다.

$ df -hT

위와 같이 사용량이 95%로 증설이 필요하다는걸 확인할 수 있다.


파티션의 상태를 확인한다.

$ lsblk

파티션을 하나 사용중이고(nvme0n1p1) 파티션의 용량도 10G로 현재의 EBS 용량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. 참고로 /snap/과 관련된 부분은 AWS 쪽에서 관리하는 것으로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.



EBS 용량 증설 하기

EC2 storage 탭의 Volume ID를 클릭하여 EBS 서비스의 화면으로 이동한다.

증설하려는 EBS를 선택 후 Action – Modify Volume을 클릭한다.

증설하려는 용량을 입력한 후 Modify를 클릭하여 증설한다. 이제 증설한 용량(15G)을 서버 파일시스템의 파티션에 추가 해주어야한다.

서버에 접속한 후 다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파티션의 상태를 확인한다. 아까와는 다르게 5G 가 차이나는걸 볼 수 있다.

$ lsblk

이제 5G를 파티션에 추가해주겠다.

$ sudo growpart /dev/nvme0n1 1

다시한번 파티션의 용량을 조회하면 제대로 15G가 반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$ lsblk



참고 :

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AWSEC2/latest/UserGuide/recognize-expanded-volume-linux.html

https://aws.amazon.com/ko/premiumsupport/knowledge-center/ebs-volume-size-increase/